반응형

정보 보안 개념
정보 보안 

정보 생성, 가공, 유통, 배포, 사용 과정에서 부작용에 대처하기 위한 모든 정보 보호 활동을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
정보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그 중요성도 날로 커지고 있다.
향후 정보통신 시스템과 네트워크가 보다 개방화되고, 용량과 성능 및 시스템 간의 연결성이 강화될수록 그 취약성도 비례하여 증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보 보안 위협 : 컴퓨터 자체, 컴퓨터와 컴퓨터 연결해주는 네트워크 
- 정보 전송 방해(interuption) : 차단
- 정보 가로채기(interception) : 도청
- 정보 변조(modification) : 정보를 가로챈 후 잘못된 정보를 전달
- 정보 위조(fabrication) : 수신자 변경

정보 보안의 목표
내부 또는 외부의 침입자에 의해 행해지는 각종 정보 범죄로부터 정보 보소
정보 보호에 대한 요구 사항 : 비밀성(confidentiality), 무결성(integrity), 기용성(availability) 조직 특성 및 환경에 따른 우선 순위
- 비밀성 : 정보는 소유자의 인가를 받은 사람만 접근해야 한다.
- 무결성 : 정보의 정확성, 완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정보 변경에 대한 통제, 오류 예방
- 가용성 ; 적절한 방법으로 동작되어야 한다. 권한 있는 사용자의 사용을 거절해서는 안된다. 

시스템 사용을 완전히 배제하는 보안성과 시스템 사용을 자유로히 허용하려는 가용성은 상호 이율 배반적이므로 적절한 수준에서 균형을 이루도록 해야 한다.

정보 보안 서비스
- 부인 방지(nonrepudiation) : 송신자와 수신자 둘다 전송/수신 부인을 막는 방법. 송신자 확인/수신자 수신여부 확인
- 접근 제어(access control) : 네트워크 상에서 호스트 시스템이나 통신링크에 연결된 응용 프로그램의 접근을 제한하거나 조절

정보 보안의 생활화

개인 정보 : 단순한 신분정보. 사회를 구성/유지/발전 하기 위해 필수 요소.
컴퓨터 바이러스
사용자 몰래 컴퓨터에 들어와 자기 자신 또는 자기 자신의 변형을 복사하는 등의 작업을 통하여 프로그램이나 실행 가능한 부분을 변형하여 컴퓨터의 운영을 방해하는 악성 프로그램.
감염 기종에 따라 분류
윈도우 바이러스(대부분 바이러스 존재)
- 부트 바이러스 : 디스크의 가장 처음 부분인 부트섹터에 감염. 세계 최초 발견 바이러스(브레인, 미켈란젤로)
- 파일 바이러스 : 일반 프로그램에 감염. 90% 이상 비중.
- 부트/파일 바이러스 : 둘 모두에 감염.(나타스, 테킬라)
예방 : 백업, 보안프로그램 설치, 정품 사용
제거 : 무료 바이러스 백신 도구 활용


악성 프로그램과 해킹
악성 프로그램
컴퓨터 시스템을 파괴하거나 작업을 지연 또는 방해하는 프로그램
- 웜 : 실행코드 자체로 번식. PC상 에서 실행.
바이러스는 감염대상을 가지지만 웜은 감염 대상이 없고,
바이러스는 자체 번식하지 않지만 웜은 자체 번식한다.
스스로 전자메일에 자신을 첨부할 수 있어 전자메일 확인에 주의해야 한다.
- 트로이 목마 : 해킹 기능. 컴퓨터 정보 외부로 유출.
파일 다운로드를 통해 전파된다. 사용자의 권한으로 시스템 방어체제에 침해하여 정보를 획득한다.
해당 프로그램만 제거하면 해결할 수 있음.


해킹 : 통신망을 통해 불법 접속하여 불법행위
해크 : 순수한 즐거움을 위한 작업에 따른 결과물
피싱 : 전자메일로 유도
스파이웨어 : 스파이 소프트웨어1
도스 : Denial of Service(서비스 거부). 악의적인 시스템 공격으로 서버의 서비스를 거부시킴.
디도스 : Distribute Denial of Service(분산 서비스 거부). 좀비 PC의 공격으로 시스템 마비.
크래킹의 일종. 좀비 PC를 분산 배치하여 원격조종해 단시간 내에 많은 분량의 패킷을 동시에 발생시켜 서버 장애를 유도하는 방식. PC 사용자도 모르게 악성 프로그램에 감염되어 좀비PC가 될수 있다.
스미싱 : 문자메시지 피싱
파밍(pharming) : 정상 홈페이지가 아닌 가짜 사이트로 유도하여 개인정보를 탈취한다. 

암호화 기술
암호 : 평문을 암호화 하거나 해독하기 위한 원리, 수단, 방법 등의 기술
암호학 : 암호와 암호 해독을 연구하는 학문
암호화 과정
평문 → (암호화) → 암호문 → (복호화) → 평문
키 : 평문과 무관한 값 
알고리즘 : 사용된 키에 따라 다른 출력 보냄 : 키에 따라 알고리즘의 출력이 바뀐다.
송신자와 수신자는 규칙을 알아야 한다.( 정보를 코드화된 형태로 바꿀 때 필요한 것)
대칭키, 비밀키 암호 기법 : 동일한 키로 암호화, 복호화
비대칭키, 공개키 암호 기법 : 다른 키로 암호화, 복호화

암호화 기법
대체와 치환이 기본
스트림 암호 : 연속적으로 글자를 입력해서 연속적으로 출력
블록 암호 : 한 블록씩 동시에 암호화하여 입력 블록에 대하여 출력 블록을 생성.
키 알고리즘
1. 키만 바꾸고 알고리즘을 바꿀 필요는 없다.
2. 암호 해독당했을 경우 키만 바꾸면 된다.
비밀키 암호화 = 대칭키 암호화 
평문 → (공유된 비밀키) → 암호화 알고리즘 → (공유된 비밀키) → 복호화 알고리즘 → 평문 출력
암호화 알고리즘은 알고리즘이 아니라 키의 보안에 의존한다. (저렴)
알고리즘과 암호문을 가지고는 해독이 불가능하다.
특징
1. 여러 상대방에게 같은 키를 사용한다면 그들은 서로의 메세지를 읽게 된다.
2. 송신자와 수신자 증명이 불가능하다. (부인 봉쇄가 불가능) → 비대칭 암호화 알고리즘
DES 알고리즘 : 56비트 키를 사용하여 64비트 자료를 블록 암호화. 64비트 입력을 64비트 출력.

공개키 암호화
평문 → (수신자 공개키) → 암호화 →(수신자 비공개키) →복호화 → 평문 출력
키를 공개함으로써 키 관리의 어려움 해결.
대체와 치환보다 수학적 함수를 기본으로 한다.
두 개의 분리된 키를 사용한다. 암호화 할때는 공개키, 복호화 할때는 비공개키를 서로 다르게 생성하여 비공개키만 안전하게 유지한다.
비공개키는 소유자만 알고 있게 된다.
송신자의 키는 상관없고 수신자는 유일한 키를 사용한다. 공개키는 여러개 이다.

디지털 서명 : 작성자 인증, 무결성 보장. 기밀성은 보장 불가능 하지만 부인 방지 가능하다.
부인 봉쇄의 속성
느리고 위장 공격에 취약하다. 

인증
정보 내용 무결성, 송/수신자 확인 방법
- 사용자 인증 : 자신의 신분 증명하기 위한 방법. 통신망에 연결된 실체가 적법한 상대인가를 인증.
- 메시지 인증 : 전송되는 메시지의 내용이 본래의 내용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 과정.
전자 서명
사용자 인증, 메시지 인증에 사용되며 데이터의 무결성을 제공한다. 일상 생활에서의 인감.
공인 인증
공인 인증서 : 공공인증기관이 발행하는 전자정보. 사이버 거래용 인감 증명서.

인터넷 보안
전자메일 보안 : 기밀성, 사용자 인증, 메시지 인증, 송신부인 방지, 수신 부인 방지
PGP(Pretty Good Privacy) 전자우편 암호 도구 : 기밀성 사용자 인증, 메시지 인증 등 존재

웹 보안
S-HTTP : 서류의 인증과 보안 보장하는 HTTP. RSA의 공개 알고리즘 사용
SSL: 통신망 스택에서 HTTP 보다 하위에서 통신채널의 비밀 보장
방화벽 : 침입차단 시스템
안전하지 못한 서비스 노출이나 다른 호스트로부터 공격을 막는다.
호스트 전체적인 정보 보호를 강화, 정보 보호 정책 효율적 시행.

지역 어드레스를 인터넷 어드레스로 바꾸는 통신망 주소 변역기 기능.
음용 레벨의 네트워크 트래팩을 검사하여 거절하는 초크점 역할.
네트워크 계층, 전송 계층에서 프로그램된 패킷 필터규칙에 따라 패킷 거절.
패킷 필터링 방식과 응용게이트웨이 방식.

패킷 필터링
TCP/IP 네트워크 주소에서 OSI 모델의 네트워크, 전송 계층에 속하는IP, TCP, UDP의 헤더에 포함된 내용을 분석하여 동작하는 방식.
헤더에 포함된 송신/수신 IP주소 등 분석하여 외부에서 내부로 진입을 허용할지 결정하여 규칙형태로 정의, 기술한다. 라우터에 패킷필터링 기능의 스크러닝 라우터가 기본 내장되어 간단하게 구축
속도가 빠르고 저렴하지만 보안성에 취약함.

응용 게이트웨이
TCP/IP의 응용 계층에서 구동. 별도의 방화벽 서버에서 운용
응용 서비스 수준에서 트래픽 분석하여 허용 여부를 결정함.
패킷 필터링보다 발전된 방식이다. 응용 서비스마다 별도로 존재한다.
외부의 사용자가 내부 네트워크에 응용 서비스를 요구하기 위해 반드시 프락시라고 하는 게이트 웨이를 거쳐야 한다.


서킷 게이트웨이
내부망에서 모든 외부망으로의 TCP/IP 접속을 검사하고 통제
프로그램 수정의 단점이 있음.

반응형

'공부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rnet history  (0) 2023.02.18
멀티미디어와 멀티미디어 시스템  (0) 2023.02.14
컴퓨터 네트워크 교환 방식  (0) 2023.02.14
컴퓨터 네트워크  (0) 2023.02.14
컴퓨터개론-데이터베이스와 DBMS  (0) 2023.02.08
반응형

교환 방식

회선 교환 방식(Circuit switching)
대표적인 예로 전화망
송신자와 수신자가 결정되면 그 사이의 여러 통신회선 중에서 적당한 경로를 설정
설정된 경로의 집합 = 회선
1. 목적지로 전송 전에 회로 설정. 2. 정해진 경로로 데이터 통신
이 회선은 독립적으로 사용하며 데이터 전송이 끝나서 회선이 해제될 때까지 다른 컴퓨터가 이 회선을 사용할 수 없다.
데이터 전송 중이 아니여도 회선 해제가 되지 않으면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회선의 이용률이 낮다.
또한 회선 설정 시간이 필요하다.
하지만 독립적이라 주변 트래픽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대량의 데이터를 고속 전송할 수 있다. 다시 경로를 설정할 필요 없기 때문에 음성 같은 실시간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용이하다.

패킷교환 방식(Packet switching)
패킷 단위 독립적 전송. 대표적인 예로 인터넷
*패킷 :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전송의 기본 단위, 일정한 크기를 가지며 전송하는 데이터와 목적지의 주소, 패킷의 순서, 제어 정보 등이 담겨 있다.
전송하려는 데이터를 패킷으로 분할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서로 다른 전송경로를 통해 전송되어 보낸 순서와ㅑ 도착 순서가 다르게 도착하며 목적지에서 재결합해야한다. 효율성과 이용률이 높다.
회선 교환 방식에서는 한번 설정된 경로를 독립적으로 사용하지만 패킷교환 방식은 고정된 경로를 설정하지 않으므로 동일한 경로를 다른 목적지로 가는 여러 패킷들이 공유하고 있다.


네트워크 분류

LAN (Local Area Network)
근거리(컴퓨터와 주변기기 연결) 네트워크
비교적 가까운 거리. 하나의 조직에 관리하는 지역, 한 회사의 건물, 공장, 대학 캠퍼스 등.
두세 대 만으로도 하나의 LAN 구성이 가능하며, 수천도 가능하다.
한 조직에서 여러대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작업하면서 서로 정보를 교환하고 공유할 필요가 있을 때 LAN으로 연결한다.
컴퓨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 등 자원을 공유한다.

* 특징 : 좁은 구간 네트워크 (상대적). 전송 지연이 적고, 품질 높은 통신 회선을 사용해서 통신 품질이 우수하다. 전송 시 오류가 적고 전송속도가 빠르다. 주변 장치 연결과 확장이 용이하다.
* 표준 :
- 이더넷(ethernet) 1976년 Xerox사 개발 DEC, 인텔 표준화.
IEEE 802.3 표준안 채택 10Mbps, CSMA/CD 알고리즘
10 BASE-2, 10 BASE-T
- 고속 이더넷 1990년대 기존 이더넷 확장개발, 100Mbps. 100 BASE-T 기존 표준 이더넷에서 NIC 개선
- 기가비트 이더넷 1Gbps. 기존 방식 사용해서 호환성 높음.
- FDDI(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 미국 표준화 협회와 ITU-T에 의해 표준화. 전송매체 광섬유 사용하여 많은 대역폭과 빠른 전송이 필요한 백본망에서 사용

MAN(Matropolition Area Network)
LAN보다 넓은 범위 네트워크. 하나의 마을, 도시를 연결한다. 통신 사업자가 관리하고 제공한다. 전화 사업자들이 SMDS 서비스를 제공.
* SMDS : Switched Metropolition Data Services.
WAN(Wide Area Network)
하나의 국가나 국가와 국가를 연결. 대표적으로 인터넷.
LAN이 연결 가능 범위가 제한적인 반면에 WAN은 광섬유, 전용선, 위성 등을 통해 전 세계로 연결되어있음.
MAN과 마찬가지로 통신 사업자가 서비스 제공하고 사용 비용을 지불해야함.
LAN에 비해 비싸고 느림.


네트워크 방법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종합 정보 통신망.
1980년대 중반 음성 전화, 데이터통신, 화상 통신 등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통합하여 하나의 통신망으로 제공.
이전보다 넓은 대역폭으로 전화를 끊지 않고도 컴퓨터 통신이 가능하다.
63Kbp ~ 144Kbp로 느리다. 현대의 대용량 데이터를 고속 전송하기 힘들다.
B-ISDN :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 ISDN 위에 만들어진 광대역 디지털 통신망.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포럼이 설계. ITU-T가 채택한 '셀 릴레이' 형태 전송 방식.
B-ISDN을 구축하는 데 사용되는 전반기술 53바이트의 셀이 기본단위.
셀 : 53바이트 (48바이트 단위로 쪼개진 데이터 + 정보를 가지는 헤더 5바이트)
가상회선을 통하여 전송하는 전송 및 교환 기술. 교환 노드에서 단위 시간에 보내는 셀의 수를 조절하여 전송 대역폭 조절이 가능하다. (저속/고속 전송) 유연한 네트워크.
사용자의 정보와 제어 정보를 통합하여 서비스 제공한다. 문자, 음성, 영상, 신호, 제어 정보 

xDSL(x-Digital Subscriber Line)
세계 각국의 기간망 광대역화.
등장 배경 : 고속화 노력 과정에서 전화국과 가입자를 연결하는 가입자망은 오래 전에 구축되어 있고 모든 가입자망을 바꾸는 것은 엄청난 비용과 시간이 소모된다.
기존에 깔려있는 전화선의 가입자망을 이용하여 보다 적은 비용으로 고속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려는 기술
-> xDSL
제한된 거리에서 기존의 전화망 이용. 주파수 대역 모뎀 통해 데이터 고속 전송.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1989년 미국의 벨코어가 VOD의 상용 서비스를 위해 개발.
등장 배경 : 하향 전송(downstream)에서는 광대역이 필요하지만 상향 전송에서는 좁은 대역 통신으로도 충분하다.
비대칭적 가입자망으로 고안.
기존의 전화선에 10:1 차이. 기존 시설을 이용하여 비용이 저렴하지만 전화국과의 거리와 전화선 노후로 인해 속도가 저하된다.

HDSL(High bit-rate Digital Subscriber Line)
ADSL과 달리 대칭적 전송. 2쌍의 전화선을 통해 고속 통신한다.
T1(1,544Mbps)의 경우에는 2쌍의 전화선으로 784Kbps의 전이중 통신(full duplex)

VDSL(Very high bit-rate Digital Subscriber Line)
ADSL과 유사한 비대칭형 가입자망이지만 훨씬 높은 속도.
짧은 거리에서 높은 전송속도를 내서 거리가 멀어지면 속도 저하됨.

BWLL(Broadband Wireless Local Loop) 광대역 고정 무선 가입자망
기지국과 가입자 장치 사이는 무선, 가입자 장치와 가입자 컴퓨터 사이는 유선 통신.
하향 2GHz, 상향 500MHz
통신망 이용과 구축이 쉽고, 유지보수 저렴하다.
ADSL 서비스 제공이 어려운 중소규모 아파트에 설치된다.

반응형

'공부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rnet history  (0) 2023.02.18
멀티미디어와 멀티미디어 시스템  (0) 2023.02.14
정보 보안의 개념과 목  (0) 2023.02.14
컴퓨터 네트워크  (0) 2023.02.14
컴퓨터개론-데이터베이스와 DBMS  (0) 2023.02.08
반응형

[2023년 부산 청년 일하는 기쁨카드 지원사업]

부산광역시와 부산경제진흥원이 부산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부산 청년 근로자들에게 문화여가와 자기계발 및 건강관리 3개 분야에 사용 가능한 복지포인트를 지원해준다고 합니다

복지 개선 및 청년이 일하기 좋은 도시를 구현하고자 하는 목적이라고 합니다

 

1. 사업개요 및 지원자격

부산 기쁨카드 신청 기간입니다
❍ 신청기간: 2023. 2. 6.(월) 13:00 ~ 2023. 2. 17.(금) 18:00까지

부산 기쁨카드 모집인원 입니다
❍ 모집인원: 700명
❍ 지원내용: 청년 근로자 복지포인트 100만원 지원
- 복지카드 사용기간 : 복지 포인트 지급 시부터 2023. 11. 30. 까지
❍ 지원대상: 공고일(2.3.) 현재 부산에 거주하는 청년근로자로서 아래의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함(외국인 제외) ➀ 공고일(2.3.) 기준 만 18세 ∼ 34세 이하 부산 거주자(주민등록상 거주지) ➁ 공고일(2.3.) 기준 부산에 소재한 중소기업에 3개월 이상 재직중인 자- ‘중소기업현황정보시스템(SMINFO)’에서 중소기업으로 조회되어야 함
 ③ 입사일은 현 근무지에서 2021.1.1.이후 입사자일 것
 (입사일 21년 1월 1일 이후 입사자 ~ 2022년 11월 3일 이전 입사자)
 ④ 소득수준: 2023년도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인 자
- 소득수준은 개인 건강보험료 환산액으로 판단
(본인부담금 111,677원 이하-장기요양보험료제외)

⑤ 다음의 지원 제외사유에 해당되지 않는 자

< 지원 제외 대상 >
기쁨카드 참여자격(연령, 거주지, 근무조건 등) 미충족자
기쁨두배 통장(부기통장) 참여중인자
부산청년 일하는 기쁨카드지원 사업 참여 이력이 있는 자
공고일 기준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타 시도 포함) 지원 사업(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 청년내일채움공제, 청년인턴 지원사업 등) 참여중인 자  (단,지역주도형일자리 사업중 1유형,4유형 참여자중 정규직채용되어 신청한경우 예외적으로 신청가능)
2022. 1월 이후 국민취업지원제도 취업수당을 받은 자
국가근로장학생(한국장학재단)  해외파견자, 휴직자(육아휴직 포함)
현역 및 보충역(군인, 사회복무요원, 전문연구요원, 산업기능요원 등)

기쁨카드 신청 방법입니다!

① 신청 사이트: 부산일자리정보망

② 부산 청년 일하는 기쁨카드 설명 페이지에서 내용 확인 후 ‘사업 공고문으로 가기’ 버튼 누름
③ 사업 공고문 페이지에서 ‘참가신청’버튼 누름
④ 온라인 페이지에서 참가신청서 작성 ※ 부산일자리정보망 회원가입⑤ 첨부파일 등록
 1) 신청자 체크리스트 및 개인정보활용 동의서 (서식1,서식2)(반드시 자필서명) - 서식 1과 서식 2는 반드시 자필서명 해야함(누락시 탈락) 2) 주민등록초본(공고일이후 발급분-본인주민번호 전부 노출될 것) 3) 4대 사회보험 가입자 가입내역 확인서(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4) 재직처 중소기업확인서

5) 재직처 사업자등록증(부산소재지 명기된 것) 

6) 건강보험 납부확인서(3개월분의 기간 22년10월,11월,12월)

 7) 건강보험 산정보험료 금액 (사진 또는 캡처)

 

3. 지원대상자 선정 기준
❍ 1단계: 적격대상자 여부 검토
- 재정지원 일자리지원 중복 참여여부 확인(관련기관 조회 등)
- 부산 지역 중소기업 재직여부 확인
- 소득수준, 연령 등 적격여부 확인
m 2단계: 제출된 서류를 통해 적격자로 판단된 지원자에 대해 공개추첨실시- 적격대상자에게 번호를 부여하고(*부산 일자리정보망 공지예정) 선정일에 공개추첨실시 예정
- 기준중위소득 구간별로 인원수 모집(추첨)

4. 복지포인트 지원
❍ 지원내용: 1인 기준 연간 100만원 상당의 복지포인트 제공
❍ 지원기준: 연 2회 분할 지급(생애 1회) - 장기재직 유도를 위해 1회차 지원금 50만원 지급하고, 3개월 이후 계속 근무하고 있는 경우 2회차 지원금 50만원 지급

6. 최종 대상자 선정 통보
❍ 최종 대상자 발표: 2023. 3월 말(예정)
❍ 대상자 개별 문자 통보예정
❍ 공통사항
 - 부산일자리정보망 홈페이지에 게재 예정
 - 발표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 문의사항 : 부산경제진흥원 일자리기획팀(051-600-1883, 1886)

 

7. 유의사항
❍ 참가 신청서는 온라인으로만 신청할 수 있으며 방문 및 우편제출 절대 불가 ❍ 사실 확인 의뢰 결과 제출서류와 다른 부분 발견 시 심사탈락(제출서류 일체)
❍ 신청서 등에 허위기재 또는 기재착오, 구비서류 미제출 등으로 인한 불이익은  신청자의 책임으로 함
❍ 신청관련 자주하는 문의내용은 부산일자리정보망 공지사항 FAQ로 확인바람❍ 신청자는 자격요건 등이 적합한가를 우선 판단하여 신청서를 접수하기 바라며,  제출한 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음
❍ 신청서나 각종 증명(빙)서의 기재내용이 사실과 다른 사항이 추후 확인 될 경우 지원 대상에서 취소, 복지포인트 지원금 환수 및 관계법령에 따라 조치받을 수 있음❍ 선정 후 입사 유지 확인을 위한 자료, 현장점검 등을 요청할 수 있음
❍ 선정 이후 오리엔테이션 및 청년 정책 관련 행사 참여에 적극 참여해야할 의무가 있음

 

□ 자격요건 확인
○ 취업일로부터 3개월 이상이 되었습니까? (예 / 아니오) ○ 현재 재직 중인 회사에 2021. 1. 1.이후 입사하였습니까? (예 / 아니오)
○ 신청 시 나이는 만18세 ~ 만34세 범위에 포함 되십니까? (예 / 아니오)
○ 2022년 1월 이후 국민취업지원제도를 통해 취업성공수당을 받았습니까? (예 / 아니오)
○ 재직중인 회사의 업종은 제외대상 업종에 해당됩니까? (예 / 아니오)
○ 부산청년 일하는 기쁨카드 지원을 받으신 적이 있으십니까? (예 / 아니오)
○ 현재 행정안전부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 청년내일채움공제 및 청년인턴지원사업에 참여중 이십니까? (예 / 아니오)
○ 2022년 10월~12월(3개월) 평균 건강보험료 납부액이 111,677원 이하 입니까? (예 / 아니오)
○ 선발자 대상으로 실시하는 부산청년 일하는 기쁨카드 지원사업 비대면 온라인 교육(3월 중 예정)에 참석 가능합니까?(예 / 아니오)
□ 지원사항 확인
○ 부산 청년 일하는 기쁨카드는 2회(각 50만원)로 분할하여 지급 됩니다○ 복지비 지원 중 타 일자리관련 사업에 중복지원이 되는 경우 하나의 지원 사업을 선택하여 철회하셔야 하며, 미 철회 시 일자리관련 사업의 지원금이환수 및 중단이 될 수 있습니다.
○ 2차 지급은 1차 지급 후 3개월 고용 유지 시 지원되며, 중도 퇴사 시 지급 되지 않습니다.
□ 부산시 청년정책 참여 확인
○ 본인은 부산시 청년정책의 당사자인 파트너로서 책임감을 갖고 향후 부산시의 청년관련 정책의 입안과 평가과정(포럼, 토론회, 온라인설문조사 등)에 연간 2회 이상 필수적으로 참여하며, 부산시 청년정책 홍보(온·오프라인) 수신에도 동의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네트워크 : 여러 종류의 통신 회선을 통하여 원격에 있는 다른 시스템에 데이터를 전송
컴퓨터 네트워크 (Computer Network) : 전송 매체(케이블, 무선)에 의해 연결된 컴퓨터들이 상호 간에 정보를 교환하는 시스템. 송신자, 수신자, 전송 매체로 이루어짐.
송신자 수신자 간 데이터 전송은 전송 절차인 프로토콜에 따라 이루어짐.


프로토콜 (protocol) : 통신을 하는 두 개체 간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무엇을, 어떠한 방식으로 교신할 것인지를 정한 절차 또는 규약.
메시지의 형식, 전달 방법, 교환 절차, 에러 발생 시 처리 방법 등이 포함.
TCP, IP, UDP, HTTP 등의 종류


네트워크 역사
전화 통신망

1837년, 사무엘 모스 : 근대적인 최초의 전기 통신 모스 부호
1876년, 알렉산더 벨 : 전화 발명
1878년, 교환기 등장
1895년, 우리나라 교환기 설치
1902년, 서울-인천 전화 개통
1960년대 디지털 전송 기술 개발

* 전화망 : 음성을 아날로그 신호로 전송. (사람→교환기→수신교환기→수신자), 아날로그 전송 과정에서 신호의 왜곡과 잡음 발생, 거리가 길어지면 증폭기 필요.
* 교환기 : 시내교환기, 시외교환기 등과 같이 여러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최근에는 교환기 사이는 디지털 신호로 전송한다.


컴퓨터 네트워크

1960년대 하나의 컴퓨터에 여러 개의 터미널을 연결하는 방식
1969년 미국 국방성, ARPANET 네트워크 개발
1972년 IBM, SNA
1974년 제로스, 이더넷
1986년 NSF, NSFNET + ARPANET
1982년 TCP/IP 인터넷 프로토콜
1992년 WWW 개발


OSI (Open Systems Interconnect) 모델
1978년, 국제표준화기구 ISO. 서로 다른 두 가지 시스템이 하위 구조에 상관없이 통신을 할 수 있는 국제 표준.
7개 계층으로 구성. 서로 간에 독립적. 어느 한 계층의 변경이 영향을 주지 않음. 필요한 몇 개 계층만 표준화해도 정상적 통신 가능.
- 1계층, 물리계층
전송매체로 비트들을 전송하는 기능. 물리적인 네트워크 장치들의 사양 결정
- 2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비트들을 프레임이라는 논리적인 단위로 구성. 프레임에는 전송하려는 데이터에 인접하는 노트의 주소가 더해지는데 이는 최종 목적지의 주소가 아니라 인접하는 다음 노드의 주소가 된다. 물리 계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하고 복구하는 오류제어 기능, 흐름 제어 기능(한 번에 전송되는 데이터양 조절) 인접하는 두 개의 노드 간의 전송을 책임짐.
- 3계층,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의 발신자와 목적지 간 패킷 전송 경로를 책임짐. 논리주소의 IP주소를 헤더에 포함시켜 전송(목적지까지 유지)
- 4계층, 전송 계층
전송(transport) 발신지에서 목적지 실제 전송 책임.
수신한 메시지의 순서 재설정, 오류 패킷 재전송 요청
(송신 데이터 패킷 분할, 수신 패킷 재구성)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각 패킷의 전송을 책임.
전송 계층에서는 전송하려는 메시지를 여러 패킷으로 나누어 네트워크 계층에 보냄.
네트워크 계층은 이 패킷을 하나씩 전송(독립적으로 전송되어 수신과 송신 순서 구분)
이 전체 과정을 올바르게 보장하는 역할이 전송 계층
- 5계층, 세션 계층 * sesstion(접속)
전송하는 두 종단 프로세스 간 접속을 설정, 유지, 종료 (사용자와 전송 계층 간 인터페이스)
세션을 연결, 관리, 동기화 → 데이터의 단위를 전송계층으로 전송하기 위한 순서를 결정하고 데이터에 대한 점검 및 복구를 위한 위치를 제공.
세션 종료 시간을 수신자에게 알려줘 종료 기능.
- 6계층, 표현 계층
전송 정보의 표현 방식. 관리, 암호화, 데이터 압축 → 전송하려는 메시지를 수신자가 이해할 형식으로 변환
보안 위해 송신자가 암호화, 수신자가 복호화
- 7계층, 응용 계층
최상위 계층, 응용 프로세스(사용자+응용프로그램)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수단 제공하여 서로 간 정보 교환할 창구 역할 (네트워크 가상 터미널, 파일 전송 우편 서비스, 디렉터리 서비스 등)


전송매체 : 모든 네트워크는 송신자, 수신자 연결해 주는 전송매체 필요.
특성(대역폭, 전송지연 등) 존재, 꼬임선, 동축케이블, 광케이블 등 사용
* 대역폭(bandwidth) : 전송매체를 지나는 신호의 최대 주파수와 최저 주파수의 차이. 대역폭이 높을수록 단위 시간당 더 많은 데이터 전송

- 꼬임선(twisted pair)
플라스틱 덮인 두 가닥 구리선 꼬아 만든다.
* 꼬아 만드는 이유 : 전자 제품 옆 지나갈 때 발생되는 간섭으로부터 두 선이 일정 거리 두어 비슷하게 왜곡되게 하여 오류 최소화.
UTP(Unshield Twisted Pair)
STP(Shield Twisted Pair) : UTP를 금속물질로 한 번 더 싼 것.
STP가 UTP에 비해 외부 간섭과 잡음 차단력 높지만, 비싸고 작업 힘들다.
장점
만들기가 쉽고 비용이 저렴하다.
단점
낮은 대역폭, 신호간섭 심함  
활용
 실내 전화선, 초기 전송 매체 , 랜선 


-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
중앙 전도체 + 절연체 + 외부 전도체 + 외부 피복
장점
꼬임선보다 우수한 주파수 특성으로 높은 대역폭과 빠른 전송 / 외부 신호 차단 우수, 전자기파 차단 우수  
단점
 비용이 비싸다.  
 활용
유선 방송, CATV, 근거리 통신망 

- 광섬유(optical fiber)
머리카락보다 가는 유리 섬유로 광선 전송, 10Gbps 이상의 속도.
장점
구리선의 문제점인 전자기파 간섭 거의 없음. 대역폭 크다. 신호 감쇄율 적다. 보안성 우수
단점
비용 많이 들고 설치가 까다로움. 특수장비 요구

- 위성(satellite)
하에 커다란 초단파 중계기.
한 지상국 신호를 받아 증폭시키고 주파수 변경시켜 다른 지상으로 전송.
36000Km 높이의 정지위성 (회전주기=자전주기)
보통 장거리 통신 : 통신거리에 비례 비용
장점
통신 구간 거리가 비용에 영향 없음 
단점
점대점 네트워크만 구성 가능, 36000Km의 거리 왕복으로 전송 지연이 250ms, 주파수와 기후 상태에 따라 감쇄 

1995년, 무궁화 1호
2010년, 올레 1호

반응형

'공부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rnet history  (0) 2023.02.18
멀티미디어와 멀티미디어 시스템  (0) 2023.02.14
정보 보안의 개념과 목  (0) 2023.02.14
컴퓨터 네트워크 교환 방식  (0) 2023.02.14
컴퓨터개론-데이터베이스와 DBMS  (0) 2023.02.08
반응형

케이뱅크에서 10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출시한 카드인 Hi teen 카드의 혜택 시즌 2가 시작되었습니다


청소년들이 자주 사용하는 편의점과 관련된 혜택입니다


<편의점 캐시백 이벤트>
편의점 갈 때마다 500원씩 캐시백 받을 수 있습니다
최대 20번 받을 수 있으며, 발급월 다음달까지 적용됩니다 (즉, 한달 한정 혜택입니다)
GS25, CU, 세븐일레븐, emart24, MINISTOP 전국 5대 편의점 모두 캐시백 받을 수 있습니다
Hi teen에 가입 후 이벤트 페이지로 접속하여 이벤트 응모하기를 눌러야 이벤트 참여 대상이 됩니다
편의점 캐시백 이벤트 기간은 2023년 2월 1일부터 23년 2월 28일 까지입니다
해당 기간 동안 Hi teen 카드를 신규로 발급 받고 이용해야 이벤트 혜택이 제공된다고 합니다 (신규 가입자 한정 혜택입니다)
전국 5대 편의점인 CU, GS, 세븐일레븐, 이마트24, 미니스톱에서 금액 생관없이 이용할 때마다 500원씩 총 20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하루 이용 횟수 제한도 없습니다
받아야 할 캐시백은 즉시 지급되는 것이 아니라, 총 합산하여 Hi teen 계좌로 4월 10일 일괄 지급됩니다
승인거절, 매출취소 등의 건에 대해서는 편의점 캐시백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이벤트는 본인회원 기준 1인 1회만 응모 가능합니다



Hi teen 미가입 친구에게 소개하면 친구와 가입자 둘 다 3천원씩 받을 수 있습니다
이벤트 진행 기간은 2023년 2월 3일 부터 3월 31일 까지 입니다
이벤트 기간 중에 친구가 내 초대 코드를 통하여 Hi teen 개설 후에 Hi teen 카드까지 발급을 완료해야, 나와 친구 모두에게 각각 3,000원이 지급됩니다. 초대 혜택은 최대 월 10명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2월에 10명으로 3만원, 3월에 10명으로 3만원 씩이면 6만원을 받을 수 있겠네요
다만, 커뮤니티 혹은 SNS 내 이벤트 글 대량 게시 등을 통하여 부적절한 방법으로 참여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이벤트 참여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또한 SNS 공유를 통하여 발생되는 일에 대해서 케이뱅크가 책임을 지지 않는다고 합니다
초대를 받은 친구의 3,000원 혜택은 Hi teen 개설 및 Hi teen 카드 발급을 완료한 익월 첫째 주에 지급됩니다
초대를 한 나의 3,000원 혜택은 친구가 Hi teen 개설 및 카드 발급을 완료한 익월 첫째 주, 초대한 고객의 Hi teen 계좌로 지급됩니다
기존 Hi teen 고객이 탈회 후 재가입하여 초대 코드를 입력해도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Hi teen 은 보유한도 50만원인 선불전자지급 수단입니다
일 30만원 월 200만원의 이용한도가 있습니다
이용한도에 포함되는 금액은 계좌이체 금액, 연락처 송금 금액, Hi teen 카드를 통한 ATM 현금 출금금액입니다
가입대상은 만 14세 부터 만 18세 미만의 내국인으로 1인당 1개만 개설 가능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2년간 1,200만원을 모을 수 있는 청년내일채움공제 에 대해 알아볼까요?
청년내일채움공제 사업을 통하여 청년은 장기근속과 목돈마련의 기회를 잡을 수 있으며 중소기업은 우수인재 확보와 고용유지의 기회를 잡을 수 있다는 것이 사업소개입니다.
23년 사업 축소가 이뤄지면서 23년 신규 가입자에게 적용되는 변경사항이 좀 있습니

- 청년이 중소기업에서 장기근속할 수 있도록 청년, 기업, 정부가 2년 간 공동으로 적립하여 청년의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제도 입니다.
- 청년은 초기 경력형성을 통한 미래설계 기반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 기업은 우수인재를 안정적으로 고용할 수 있습니다

23년 적립금 부담 비율 상향 조정이 이뤄졌습니다
자산형성 사업 신설, 기업 책임성 강화 등을 고려하여 청년 및 기업 적립금 부담 비율이 상향되었습니다
- 청년 부담은 기존 2년 300만원에서 2년 400만원으로 100만원 올랐습니다
- 기업 부담은 기존 최대 2년 300만원에서 2년 400만원으로 100만원 올랐으며, 기존 기업 규모에 따라 차증 부담에서 규모에 상관없이 기업 100% 부담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정부의 청년지원금 및 기업지원금 적립 시기

즉, 22년에는 청년 300, 기업 300(일부 정부지원), 정부 600에서 23년 청년 400, 기업 400, 정부 400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정부지원금 중 200만원(고용보험기금)은 기업지원 방식(기업 가상계좌로 지급)으로 청년에게 지원됩니다
청년은 납입금액(청년부담금): 최초 20개월간 월 16만원, 이후 4개월간 월 20만원을 납입(2년간 총 400만원) 하게 됩니다.
* 공제 가입기간 동안 납입(적립)금액 감액 또는 추가 납입은 불가능 합니다.

전체적으로 사업 규모를 축소하는 방향으로 개편되었습니다.

기업 규모 및 업종도 제한되었습니다
기업 규모 측면에서 기존 5인 이상 중소기업에서 5인 이상이며 50인 미만 사업장으로 축소되었습니다
모든 업종 지원에서 제조업, 건설업만 지원으로 업종이 제한되었습니다

사업 수행 주체가 개편되었습니다
기존 운영기관에서 고용센터로 변경되었는데요. 지원 규모를 축소함에 따라 신규 가입자는 고용센터에서 가입 및 지급 업무 전반을 수행하도록 개편한다고 합니다. 다만 22년까지 청년공제에 참여한 기업 및 청년에 대한 사후관리와 지원금 신청 등은 기존 운영기관이 계속해서 담당한다고 하네요.

청년내일채움공제 지원대상은 (청년) 만 15~34세*의 청년으로 제조·건설업 중소기업에 정규직으로 신규 취업한 청년입니다
* 군 복무기간과 연동하여 최장 39세까지 가능
** ‘정규직’은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를 말하며, 파견근로자, 기간제근로자 등은 제외함
(기업) 고용보험 피보험자수 5인 이상~50인 미만 제조·건설업종 중소기업으로 상기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한 기업입니다

가입 제외 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① 청년공제에 가입했던 자
- 다만, 청년공제 계약 취소자(청약승낙일로부터 1개월 이내) 및 청약 철회자, 실시기업 사유로 중도해지된 자(부정수급 제외), 지방관서장이 운영위원회 등을 통해 필요하다고 인정한 경우는 가입 가능
② 월 급여총액이 300만원*을 초과한 자
* (기준) 기본급, 각종 제수당, 월 평균 상여금과 고정 수당 및 고정 성과급 등 월 지급 총액
③ 사업주(법인의 경우 대표이사, 개인의 경우 대표자)의 배우자, 자녀 관계에 있는 자
④ 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하지 않은 외국인. 다만, 고용보험 강제적용 대상인 거주(F-2), 영주(F-5), 결혼이민자(F-6)는 제외
⑤ 허위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청년공제에 가입한(하였던) 자
⑥ 세법에 따라 사업자등록을 한 자. 단, 실제 사업을 하지 않았음을 증명하고 휴업 또는 폐업 신고를 한 경우, 부동산임대업 중 근로자를 고용하지 아니하고 임대사무실도 두지 아니한 경우는 제외
* 가입기간 중 사업자등록을 하는 경우 중도해지(청년의 사유) ⑦ 소정근로시간이 주 30시간 미만인 자
* ⓐ공제 참여신청 이후 소정근로시간이 변경된 경우 승인 취소, ⓑ청년공제 가입기간 중 근로조건 변동으로 소정근로시간이 주 30시간 미만이 되는 경우 중도해지
⑧ 정규직 또는 비정규직으로 근무했던 기업에서 이직 후 6개월 이내에 정규직으로 동일기업(사업주단위)에 재취업하려는(재취업한) 자
* 동일기업에서 3개월 이하의 ‘비정규직(기간제, 특수고용형태종사자 등)’으로 근무했던 자는 실직기간에 관계없이 가입 가능
⑨ 국내기업의 해외법인(또는 해외지사)의 근무(예정)자로 채용된 자
⑩ 중앙부처 또는 자치단체에서 시행하는 사업에 참여하는 자 중 아래에 해당하는 자
- 2023년 직접일자리사업 중앙부처-자치단체 합동지침에 따른 재정지원 직접일자리사업과 지원 기간이 중복되는 자
- 청년공제와 중복지원을 금지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사업에 참여한 자
- 다만, 위 ⑩호에 해당하더라도 신규 취업을 이유로 일시적 축하금, 비현금성 지원을 받은 경우는 중복지원 가능

기업도 제한사항이 있습니다. 꽤 까다로운 측면이 있어서 기업에서 고용유지 측면 뿐 아니라 회사 이미지 마케팅의 수단으로도 활용 가능할 것 같다고 생각되네요.
① 「중소기업기본법」 상 ‘중소기업’이 아닌 기업
② 고용노동부 장관이 명단 공개한 기간 내에 있는 임금체불 사업주*
* 사업주 확인: 고용노동부 누리집 > 정보공개 > 체불사업주 명단 공개
→ 명단 공개기간 내에 청년공제 가입 제한
③ 임금체불 관련 상습 위반 기업
④ 「고용보험법 시행령」 제40조(지원금 등의 상호조정)에 따라 지원이 제한 되는 기업(사업주) * 동일한 근로자에 대하여 시행령 제40조에 규정한 둘 이상의 지원금 또는 장려금을 지급 받으려는(받은) 기업(사업주 단위, 정규직 채용일 기준으로 판단)
⑤ 「고용보험법 시행령」 제56조제2항(부정행위에 따른 지원금 등의 지급 제한)에 따른 지원금 지급제한 기간 내(최대 12개월)에 있는 기업
⑥ 고용보험법 시행령 제56조에 따른 반환금 미납부 기업
⑦ 중대산업재해 공표 사업장
⑧ 고용보험료 체납기업 - 단,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에 따라 회생개시 결정 이후 체납이 없는 경우와 고용위기 지역에 위치한 사업장 및 특별고용지원 업종 지정에 따라 납부기한 연장이 확인된 기업은 예외
⑨ 전년도 직장 내 괴롭힘・직장 내 성희롱, 부당대우 등이 확인된 경우

중도해지에 대한 기업과 청년의 귀책사유와 계약 종료일입니다
<기업귀책 사유>
폐업, 부도, 해산 - 폐업일 등
휴업, 휴직 - 퇴사일
권고사직 등 기업 사유에 의한 퇴직 - 퇴사일
직장 내 괴롭힘, 직장 내 성희롱 - 퇴사일
3개월 이상 연속하여 임금의 일부가 체불되거나 퇴사일 이전 6개월이내 1개월분 임금 전액이 체불된 경우 -
체불 시작된 임금산정 기간의 전일
고용보험료 체납으로 최초 미적립된 지원금 지급시기 도래일로부터 6개월 이상 공제 적립이 중단 -
최초 미적립된 지원금 지급시기 / 도래일로부터 6개월이 된 날의 전날
기업의 지원금 지급시기 도래일로부터 6개월 이상 공제 지원금 신청 지연 -
최초 미적립된 지원금 지급시기 / 도래일로부터 6개월이 된 날의 전날
청년은 적립을 모두 완료하였으나, 기업의 임금체불, 고용보험료 체납으로 마지막 회차 적립이 안되어 청년이 환급금 지급을 희망하는 경우 - 만기일 전일
기타(대기업, 근로시간, 근무형태 등 변동) - 대기업 분류일 등의 전일
<청년귀책 사유>
창업, 이직, 학업, 기타사유에 의한 퇴직 - 퇴사일
배임・횡령 등 불법행위에 따른 해고 - 퇴사일
6회차 이상 자기부담금 미납 / 만기일로부터 3개월을 초과하여 미납하는 경우 - 6회차 미납 발생일 / 최초 미납 발생일
기타(가입기간 중 사업자등록 등) - 사업자등록증의 개업일의 전일
<기타>
청년의 사망, 업무상 재해로 인한 불가피한 경우 - 사망일, 재해 발생일
부정수급 부정수급 처분 - 처분

반응형
반응형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은 이번 주 초 현재 11,000명 이상의 사망자를 낸 것으로 알려진 대규모 지진에 대한 국가의 대응에 분노가 커지는 가운데 정부가 트위터 액세스를 제한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결점"을 인정했습니다 .

지진이 시리아 국경 근처에 있는 터키의 가지안테프 주를 강타한 지 이틀 후, 구조대원들은 생존자들을 잔해에서 구출하기 위해 미친 듯이 출격하여 얼어붙은 조건을 뚫고 시계와 경쟁하고 있습니다. 국가의 준비 상태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세계보건기구(WHO)의 최신 추산에 따르면 최대 2,300만 명이 재난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한때 주거용 건물과 부동산이 서 있던 가지안테프 거리에는 거대한 잔햇더미와 잔해가 널려 있습니다. 절박한 생존자 수색이 계속됨에 따라, 긴급구조대원들은 주기적으로 주변 사람들에게 침묵을 요구하고 구조대원들이 갇힌 주민들의 생명 징후를 확인하는 동안 중장비를 잠시 정지시킬 것을 요청했습니다.

공식적인 대응으로 에르도안 대통령은 10개 주에서 향후 3개월 동안 비상사태를 선포했습니다. 국가의 재난 관리 기관은 심하게 타격을 입은 지역에 수색 및 구조 팀을 배치했으며 보건 장관은 야전 병원이 설립되었다고 발표했습니다.
수요일 여러 지진 재해 지역을 방문하면서 Erdogan은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하고 "시민을 ​​방치하지 않을 것"이라고 국가와 국가를 통합하겠다고 다짐했습니다.

그날 일찍 대통령은 정부의 대응에 대한 대중의 우려를 인정하고 처음에는 국가가 공항과 도로에서 "몇 가지 문제가 있었다"고 인정했지만 이제는 상황이 "통제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에르도안 대통령은 또한 정부의 지진 대응을 "거짓 비방"한 일부 부정직한 사람들에 대해 화를 내며 단합이 필요한 순간이며 "그런 시기에 나는 단순한 정치적 이익을 위해 악의적으로 부정적인 캠페인을 용납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

그는 계속해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의심할 여지 없이 우리 일은 쉽지 않았습니다. 약 1,350만 명이 거주하는 500km 지역에서 느껴지는 이번 지진으로 인한 파괴의 규모와 확산에 기상 조건의 어려움이 더해졌습니다. 그런데도 우리는 국가와 국가의 모든 자원을 총동원하여 재난 지역으로 지시했습니다.”

“물론 부족한 점이 있습니다. 조건은 명백합니다. 그러한 재난에 대비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우리는 어떤 시민도 돌보지 않고 방치하지 않을 것입니다.”Erdogan의 발언은 강력한 떨림으로 인해 북부의 전체 마을이 무너졌다는 보고가 나온 후 대중의 불만이 커지는 가운데 나온 것입니다. 불만이 가득한 가운데 터키에서는 트위터에 대한 액세스가 제한되었습니다 .

네트워크 모니터링 회사인 NetBlocks는 수요일 트위터 사용자가 소셜 미디어 사이트에 도달하는 것을 막고 있는 ISP 수준에서 트래픽 필터링이 적용되었다고 말했습니다. 이 보고서는 해당 국가에서 Twitter에 액세스할 수 없다는 사용자 주장과 일치했습니다.

이스탄불에서 태어나 대규모 소셜 미디어 사용에 대한 오랜 학자인 컬럼비아 대학의 Zeynep Tufekci 교수는 "터키에서 트위터가 제한되고 있다는 광범위한 보고가 있습니다."라고 트윗했습니다. Tufekci는 일부 트위터 사용자가 터키의 대응 노력에 대해 "불만족이 커지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CNN은 논평을 위해 트위터에 연락했습니다.

터키의 정보 통신 기술 당국은 해당 국가의 인터넷 사용을 감독하며 보고된 제한을 인정하지 않았거나 일부 사용자가 본 제한에 대한 이유를 제공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터키 경찰은 지진에 대한 "도발적인 게시물"이 사회적 플랫폼에 게시된 후 여러 사람이 구금되거나 체포되었다고 발표했으며 "시민을 ​​학대하려는" 웹 사이트가 폐쇄되었습니다. 터키는 여러 지각판 위에 위치하여 지진에 익숙한 나라이지만 월요일과 같은 재해는 흔하지 않습니다.

이번 주 진도 7.8의 지진은 지난 세기 동안 이 지역을 뒤흔든 가장 강력한 지진 중 하나였습니다. 미국 지질 조사국(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에 따르면 1939년에 규모 7.8의 지진이 미국 동부를 강타하여 30,000명 이상이 사망했습니다.

1999년에 17,000명 이상의 사망자를 낸 별도의 대지진 이후 터키 정부는 재난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지원하기 위해 소위 "지진세"를 도입했습니다.

당국에서 "특수 통신세"라고 부르는 이 세금은 그 재앙 이후 도입된 6가지 세금 중 하나였습니다. 처음에는 일시적인 조치로 도입되었으나 이후 영구 부담금이 되었습니다. 지난 24년 동안 부과된 지방세 전문가인 Ozan Bingol은 그 결과 국가가 약 880억 터키 리라를 징수했다고 추정합니다. 가장 많은 액수는 작년에 모아져 총 93억 리라(약 5억 달러)였습니다. 세금의 일부가 건물 보강에 사용되었는지 지진 대비에 사용되었는지 등 세금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는 불분명하여 대중의 불만을 가중시켰습니다.

터키 재무부는 세금을 "일반예산수입"으로 기재하지만 정부는 징수된 자금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정확히 명시하지 않습니다. "일반 예산"에 포함된다는 것은 도로, 교량, 병원 건설 및 기타 일반 지불과 같은 프로젝트를 위한 "사람들에 대한 서비스"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당인 AKP 정당의 거점인 가지안테프에서는 국가의 재난 처리를 두고 주민들 사이에 세대 간 분열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23세의 학생 Kadir Suliman은 CNN에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나는 정부를 비판하는 사람들을 비판합니다. 그들은 단지 그들 자신을 지켜야만 합니다.”

또 다른 학생인 Mustafa Yldrem(23세)은 이러한 광범위한 재앙에 직면하여 무엇을 더 할 수 있었는지 의문을 제기하며 비판에 반발했습니다.

“전국 10개 도시에서 10번의 지진이 발생했습니다. 정부가 더 이상 무엇을 할 수 있습니까? 주에서는 문자 메시지를 통해 해당 지역의 안전에 대한 업데이트를 모든 시민에게 보내고 있습니다. 그들은 건물이 주에서 검사를 받았는지 그리고 안전을 위해 허가받았는지 알려줍니다. 그들은 피난처, 모스크, 학교 등의 공간을 개방하고 난방을 보장했습니다. 모두 무료입니다.”그러나 68세의 은퇴한 전기 기술자인 Aziz Karabekmez는 정부의 노력을 비난하고 국가가 "우리에게서 돈을 공짜로 가져간다"고 비난했습니다.

Karabekmez는 "이 나라는 지진에 취약하기 때문에 우리 이웃을 보호해야 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최전선에서 잔해를 뒤지는 사람들은 터키인이 아니라 카자흐인과 외국인 지원자입니다. 그들은 일하는 방법을 모릅니다. 왜?"

마찬가지로 70세의 은퇴한 엔지니어 Mehmet Ali Karabekmez도 "그들이 우리 돈을 삼킨다"며 좌절감을 토로했습니다.

Karabekmez는 다음과 같이 덧붙였습니다. 터키 관리들의 작업은 매우 느렸습니다. 건물이 조금 흔들릴 때마다 그들이 도망치는 모습이 보입니다. 그들은 경험이 없습니다.”터키 재난 당국에 따르면 터키에서 5700채 이상의 건물이 무너졌다. 터키와 이웃한 시리아에서 너무 많은 피해가 발생하면서 많은 사람이 건설 기반 시설이 비극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묻기 시작했습니다.

이스탄불 Bogazici 대학의 지진 공학 교수인 Mustafa Erdik은 " 대부분의 충돌은 우리 가 팬케이크 붕괴 라고 부르는 붕괴 유형입니다. 이것은 우리 엔지니어들이 보고 싶어 하지 않는 붕괴 유형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붕괴에서는 보시는 바와 같이 생명을 구하는 것이 어렵고 매우 비극적입니다. 수색 구조대의 작전을 매우 어렵게 만든다”고 말했다.

Erdik은 CNN에 지진 여파의 광범위한 폐허 이미지가 "설계와 건축의 특성이 매우 가변적"임을 시사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지진 후 구조적 실패의 유형은 일반적으로 부분적인 붕괴라고 말했습니다. "완전한 붕괴는 코드와 실제 디자인 모두에서 항상 피하려고 하는 것입니다."라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USGS 구조 엔지니어 Kishor Jaiswal은 화요일 CNN에 터키가 수천 명의 목숨을 앗아간 1999년 지진을 포함하여 과거에 심각한 지진을 경험했다고 말했습니다.

Jaiswal은 터키의 많은 지역이 지진 위험이 매우 높은 지역으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지역의 건축 규정은 건설 프로젝트가 이러한 유형의 사건을 견뎌야 하며 대부분의 경우 제대로 수행된다면 치명적인 붕괴를 피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모든 건물이 현대 터키 내진 기준에 따라 지어진 것은 아니라고 Jaiswal은 말했습니다. 특히 오래된 건물의 설계 및 시공 결함은 많은 건물이 충격의 심각성을 감당할 수 없음을 의미합니다.

Jaiswal은 "설계 수명 동안 직면할 수 있는 지진 강도에 대해 이러한 구조를 설계하지 않으면 이러한 구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Erdik은 또한 무너진 많은 건물이 "1999년 이전에 지어진 것"일 가능성이 있다고 믿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또한 일부 건물이 코드를 준수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터키의 코드는 매우 현대적이며 미국 코드와 매우 유사합니다. 그러나 코드 적합성은 우리가 법적 및 행정적 절차를 통해 해결하려고 시도한 문제입니다. 우리는 지자체로부터 허가를 받고 설계와 건설에 대한 통제를 받습니다. 그런데 또 부족한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반응형
반응형


컴퓨터와 일상생활
포털(Portal) : 현관문
인터넷 포털 : 인터넷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가장 먼저 접속하는 사이트
무크(MOOC : Massive Open Online Course) : 대규모 상호 참여 기반 교육, 거꾸로 교실
- 에덱스(edX) 서울대, 하버드, MIT
대한상공회의소 : 컴활 워드   

웹 1.0 (정보혁명) 웹 2.0  웹 3.0 
 1990 ~ 200  2000 ~ 2010  2010 ~  
일방적 의사소통  양방향 의사소통  이동성이 있는 그물망
검색 고정 검색 엔진  지능형 검색 웹, 이용자 맞춤형
개발 직접 API 제공 시맨틱 기술, 상황인식, 클라우드 컴퓨팅


Web + log = Blog (1인 미디어) - 장점 : 모든 서비스를 한 사이트에서 해결, 개인적 자료 공유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 - 빠른 속도와 자유로운 의견 개진 / 검열에 대한 우려
오픈 마켓 = 열린 시장 = 마켓 플레이스

데이터베이스의 개요
데이터 : 단순한 사실에 불과한 아직 처리되지 않은 값.
정보 : 유용한 의미로 쓰일 수 있도록 처리된 데이터. 즉, 의사결정을 위해 조직화되고 체계적인 데이터
데이터에서 정보로 활용하기 위한 체계적 저장 관리


데이터베이스 : 관련 있는 데이터의 저장소 : 여러 조작을 통해 정보로 활용
여러 사람이나 응용시스템에 의해 참조 가능하도록 서로 논리적으로 연관되어 통합 관리되는 데이터 모임
단순한 자료인 데이터의 모임을 정보로 사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저장하는 방법
특징 : 통합된 데이터, 관련 있는 데이터, 중복의 최소화, 보조기억장치에 저장, 무결성, 동시 접근, 보안 유지, 장애 회복


DBMS : DataBase Management System,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유지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
데이터와 응용프로그램 사이의 중재자
모든 프로그램들이 데이터베이스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관리해 주는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필드(Fields) : 특정한 종류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
그 필드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의 종류 = 데이터 유형(data types) ex) 문자열 유형, 정수 유형
논리적으로 의미 있는 자료의 단위, 실제 자료값 저장

레코드(Record) : 필드 집합 (파일)
파일을 여러 개 모아 논리적으로 연결해서 필요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있는 데이터들로 통합된 파일의 집합 : 데이터베이스 (캐비닛의 구조)


데이터베이스 추상화 (복잡한 내부 구조 감추기) : 뷰를 세 단계로 추상화시켜 가능한 각 수준을 바라보는 뷰만을 인지하도록 한다.

스키마 (Schema) : 데이터베이스의 전체적인 설계
구성 정보의 종류와 구조 그리고 이들 간의 관계를 정의하는 구체적인 기술과 명세
여러 개의 스키마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
- 물리적 단계, 물리 스키마(내부 스키마): 하드웨어에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구조를 기술.
- 논리적 단계, 논리 스키마(개념 스키마): 비교적 간단한 데이터 구조, 내부 구조 X
- 뷰 단계, 여러 개의 서브스키마(외부 스키마): 사용자마다 다른 뷰에서 본인의 관심인 데이터베이스 일부 정의

물리적 단계(내부 단계) : 저장 장치의 내부에 실질적으로 데이터가 저장될 구조와 위치를 결정.
하위 수준의 접근 방식
바이트들이 어떻게 저장장치로부터 변환이 되는지 (하드웨어와 직접적인 상호작용)
논리적 단계(개념 단계)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데이터의 종류와 데이터 간의 관계를 기술
뷰 단계(외부 단계) : 추상화 최상위 단계. 사용자와 직접 상호작용
논리적 단계에서 데이터를 뷰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

데이터 독립성(data independence) 추상화 과정에서 상위 수준의 스키마 정의에 영향을 주지 않고 해당 스키마 정의를 수정할 수 있는 능력
뷰는 최상위이므로 해당 없음.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 : 응용 프로그램 자체에 영향 X, 논리적 단계에서의 논리 스키마를 수정
물리적 데이터 독립성 : 응용 프로그램 자체나 데이터 베이스 논리 스키마에 영향 X, 물리적 스키마 수정

데이터베이스 모델 : 데이터의 논리적 설계와 그들 간의 관계를 표현

계층모델(hierarchical model)
위에서 아래로 트리 형태로 데이터 구성
각 엔터티는 하나의 부모만을 가지며, 한 부모는 여러 자식을 가질 수 있다.
* 엔터티(entity) : 실체이면서 '관리하고 있는' 또는 '관리하고자 하는' 데이터 집합
링크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네트워크 모델과 유사하지만 레코드들이 트리 형태의 계층을 갖는다는 차이점


네트워크 모델(network model)
레코드와 레코드 간의 관계를 서로 연결하는 그래프를 사용하여 표현



관계형 모델 (relational model)
행과 열로 구성된 이차원 테이블의 집합
포인터가 존재하지 않는다.
테이블을 구성하는 동일한 열(필드)로 데이터 관계 표현
수학적 기초의 기본. 가장 널리 활용되는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의 데이터 모델

관계형 모델
모든 데이터를 이차원의 테이블로 표현한 모델
테이블 내의 필드 중에서 그 일부를 다른 테이블의 필드와 중복함으로써 여러 테이블 간의 상관관계를 정의

상관관계
 - 관계 스키마(realation schema) : 관계의 구조를 정의
- 관계 사례(relation instance) : 관계 스키마에 삽입되는 실제 사례


관계 스키마 [관계 이름(관계에 대한 속성 구성성)]
관계 이름과 속성 이름이 한 번 결정되면 시간의 흐름과
관계없이 동일한 내용이 계속 유지되는 정적인 특성

관계 사례 : 실제 값이 변하는 동적인 특성


속성(attribute) : 관계에서 각 열.
속성 이름은 유일한 이름이어야 한다.
한 관계의 총 속성의 수를 "관계의 차수(degree)"라 한다.
각 열에 저장되는 자료의 의미를 나타낸다.
실제 데이터베이스에서는 '필드'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에서는 '열(column)'이라고 표현한다.

튜플(tuple) : 하나의 관계에서 각 행.
관계에서 정의된 모든 속성 값들의 집합
실제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레코드'
DBMS에서는 '행(row)'이라고 표현한다.

도메인 : 하나의 속성이 취할 수 있는 모든 값의 범위


관계의 특징
중복 불허 : 중복된 튜플이 있을 수 없다.
두 튜플의 속성값이 같을 수 없다.
속성 이름의 유일성 : 한 관계에서 속성 이름은 유일
원자값 : 튜플 내 모든 값은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원자값이어야 함.
튜플 간 순서는 무의미
속성 간 순서는 무의미

키(key)
관계에서 튜플들을 유일하게 구별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속성의 집합
한 테이블에 튜플들은 반드시 키 값이 달라야 한다.

후보키(candidate key)
하나의 관계에서 유일성과 최소성을 만족하는 키, 한 관계에서 여러 개일 수 있다.

주키(primary key)
후보키 중 가장 적합한 식별자.
관계에서 여러 튜플 중에서 하나의 튜플을 식별하는 역할

외래키(foreign key)
어느 관계의 속성들 중에서 일부가 다른 관계의 주키가 되는 키
관계와 관계를 연결해 주는 역할

관계의 연산

삽입(insert)
관계에 하나의 튜플을 삽입하는 연산. 순서는 무의미

삭제(delete)
관계에서 관련된 튜플을 삭제하는 연산

수정(update)
관계에서 관련된 속성값을 수정하는 연산

조회(select)
관계에서 관련된 튜플에서 부분 집합의 튜플과 속성으로 구성된 새로운 관계를 생성하는 연산

* 특정 속성만으로도 생성 가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DBMS : DataBase Management System)
데이터베이스를 정의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데이터베이를 조작하고, 데이터베이스를 제어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든 프로그램이자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 DBMS + 응용프로그램 + DB
특정한 목적을 위해 위 셋이 통합된 시스템

DBMS 인터페이스 도구 : 사용자가 DB의 자료와 DB의 모든 장치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GUI 방식 지원

질의 처리기 (Query Processer) : 사용자와 응용프로그램이 요청하는 질의문을 해석하여 최적의 결과를 도출
저장 관리자 (Storage Manager) :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결정하고 최적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하여 실제 저장장치에 자료를 저장

 

공개 DBMS, MySQL
대표적인 오픈소스 DBMS.
학생들에게 인기. 현재 상용 DBMS로도 활용
mSQL → mySQL
내부구성 및 이식성 : C 및 C++로 기술 / 다양한 플랫폼에서 동작
보안 : 매우 유연, 패스워드 시스템, 호스트 베이스의 검증
모든 패스워드 트래픽이 암호화
확장성과 범위 : 대규모 DB 처리 / 각 테이블 최대 32 인덱스
접속성 : 모든 플랫폼에서 TCP/IP 소켓 → 서버 접속
Open DataBase Connectivity (ODBC)

기업용 DBMS, 오라클
운영체제가 MS라면 DBMS는 오라클이라는 말이 있다.

중소기업용 DBMS, SQL 서버
인텔 기반의 서버용 컴퓨터에서 널리 사용되는 DBMS
MS사가 사이베이스 제품을 사들여 독자 개발
ODBC, API 등 제공

ODBC (Open Datsbase Connectivity)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기 위한 표준 개방형 응용 프로그램.
DBMS 종류에 상관없이 어떤 응용프로그램에서나 모두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MS에서 개발한 데이터베이스 표준 접근 방법
(응용 프로그램과 DBMS 중간에 ODBC와 DBMS 드라이버를 이용)
응용 프로그램들이 데이터베이스의 독점적인 인터페이스에 대해 알지 못하더라도 데이터베이스 접근 가능
SQL 요청을 받아서 개개의 DB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변환.
여러 종류의 데이터베이스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기존에 사용하던 데이터베이스를 교체한다 하더라도 응용 시스템을 계속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하는 등의 장점

임베디드 DBMS : 모바일 기기 기본 탑재되는 작고 빠른 개인용 임베디드 DB엔진

SQLite :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위한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 C로 구현. 용량 작고 안정적. 서버 따로 불필요

sqlite > 명령 프롬프트
create table department 테이블 생성
.table 테이블 확인
insert into department 레코드 삽입
select 테이블 조회
간단한 질의 처리
질의=쿼리(query) : DB에 사용하는 명령어
DB를 구축하고, 새로운 자료 입력하거나 데이터 수정, 삭제, 조회하는데 이용하는 기본적인 명령어

쿼리 편집기 : 질의를 실행하고 결과 확인
(테이블 생성, 삭제 및 수정) SQL 트랜잭션 작업과 저장함수(stored procedure)를 실행하고 색인 분석을 통해 필요한 색인을 생성하는데 이용하는 도구.
SQL 서버에서 가장 많이 이용
- 개체 브라우저, 스크립팅
- 개체 검색, 개체 브라우저
- 테이블 열기
- 쿼리 바로 가기 사용자 지정

Ctrl + E : Execute 실행
Ctrl + D : griD 그리드(테이블)모드
Ctrl + T : Text 텍스트 모드 전환
Ctrl + R : Result 결과창
Ctrl + G : 줄 이동 대화 상자
F1 : 도움말
Shift + F1 : 온라인 도움말

반응형

'공부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rnet history  (0) 2023.02.18
멀티미디어와 멀티미디어 시스템  (0) 2023.02.14
정보 보안의 개념과 목  (0) 2023.02.14
컴퓨터 네트워크 교환 방식  (0) 2023.02.14
컴퓨터 네트워크  (0) 2023.02.14

+ Recent posts